많은 사람들이 돈을 잘 관리하고 싶어 하지만, 금융 지식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재테크와 관련된 용어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올바른 금융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인 금융 용어만 알아도 돈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자산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금융 문맹을 탈출하는 데 도움이 될 필수 재테크 용어 10가지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투자 및 자산 관리 용어
① 복리(Compound Interest)
👉 "복리의 마법"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작는 자본이라도 복리 재테크 상품을 구입하여 "시간"을 투자하면 어느 순간 큰 돈으로 바뀌는 것을 보고 만들어진 말입니다.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단리"와는 달리 원금에 이자가 붙고 그 이자가 다시 원금에 포함되어 또 다시 이자가 붙는 것을 "복리"라고 합니다. 장기 투자의 기본이 되는 개념이며, 복리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본인의 자산을 지키고 불리는데 유리합니다.
② ETF(Exchange Traded Fund)
👉 ETF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는 일종의 "펀드" 입니다. KOSPI200이나 S&P500처럼 특정 지수의 가격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분산 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주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어 인기가 많은 금융상품입니다.
‼️ 아래의 링크를 통해 ETF와 펀드의 차이점을 지금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ETF와 펀드 비교(기본 개념, 차이점, 선택 기준, 유리한 것)
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분이라면 ETF와 펀드의 차이에 궁금해하실 수 있습니다. 두 상품 모두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투자상품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운용 방식과 거래 방식등에서 큰
hwanginfo.com
③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 IRP는 개인이 직접 가입하고 운용하는 되직연금계좌입니다. 퇴직금이나 추가 납입금을 적립하여 은퇴 후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이며, 세액공제 혜택이 있어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적립된 퇴직금과 추가 납입금으로 예금 및 적금, 펀드,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고, 안정적인 노후 자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아래의 링크를 통해 IRP계좌 개설 방법, 활용 TIP 등을 지금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RP계좌 개설방법, 활용 TIP, 은행별 상품 비교
100세 시대인 요즘, 퇴직 시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최후의 목돈인 퇴직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체계적인 퇴직금 관리의 대표격인 IRP 상품에 대해 확인하시어, 계좌 개설 방법
hwanginfo.com
④ P2P 투자(Peer to Peer Investment)
👉 대안 투자 상품 중 하나인 "P2P 투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개인이나 기업에 직접 대출을 제공하고 이자를 받는 방식의 투자입니다. 은행을 거치지 않아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 아래의 링크를 통해 P2P투자를 비롯한 다양한 대안 투자 상품에 대해 지금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대안 투자 상품 알아보기(채권, 배당주, P2P, 장점과 단점)
현대 금융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주식 외에도 다양한 대안 투자 상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채권, 배당주, P2P 투자는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꾸준한 수익을 제
hwanginfo.com
금융 상품 및 시장 개념 용어
① 채권(Bond)
👉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정부에서 발행하는 채권을 "국채"라고 부르며, 기업에서 발행하는 채권을 "사채"라고 부릅니다.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이자를 지급하며, 만기 시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어 안정적인 투자 상품으로 평가됩니다.
② 유동성 (Liquidity)
👉 예금과 적금은 유동성이 떨어져서 투자하기 곤란하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유동성이란 자산을 현금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예금과 적금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납입하고 이자를 수취하는 투자 상품이므로 기간이 도래하기 전에 인출을 하게되면 예상보다 적은 이자를 받거나 이자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유동성"이 떨어지는 금융상품입니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일수록 거래가 쉬우며, 급하게 돈이 필요할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더 좋은 투자 상품을 찾았을때 손쉽게 인출하여 새로운 투자 상품으로 "갈아타기"가 용이합니다.
재무 전략 및 위험 관리 용어
① 디레버리징(Deleveraging)
👉 보유한 자산을 상회하는 부채를 끌어들여 이를 지렛대 삼아 투자수익률을 끌어 올리는 레버리지(Leverage)의 반댓말입로 "디레버리징"은 부채를 줄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기업이나 개인이 경제적 위기를 피하기 위해 레버리지를 줄이고 재무 건전성을 높이는 전략을 취할 때 사용됩니다.
②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란 다양한 자산을 포함한 투자 묶음을 의미하며, 투자 리스크를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자산의 특성과 시장 상황 그리고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자산을 운용하게 됩니다.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말라"라는 투자 격언을 의미하는 투자 용어입니다.
주식 관련 지표 용어
① EPS(Earnings Per Share)
👉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순이익을 나타냅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평가됩니다.
② PER(Price Earnings Ratio)
👉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주가가 이익 대비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으로 간주됩니다.
③ 배당 수익률(Dividend Yield)
👉 배당 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배당을 많이 지급하는 기업에 투자할 때 중요한 요소입니다. 장기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테크 용어들을 주제에 맞게 나누어 확인해보았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재테크 용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 보다 스마트한 재테크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금융 지식을 쌓는 것은 결국 자신의 경제적 자유를 키우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학습하고 실천하여 더 나은 금융 생활을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페이 vs. 카카오페이 차이점 비교(플랫폼 개요, 서비스 범위, 보안차이, 이벤트 차이, 상황별 플랫폼 선택 추천) (0) | 2025.04.07 |
---|---|
P2P 투자의 모든 것(개요, 수익구조, 기대 수익률, 리스크 및 관리법, 추천 대상) (0) | 2025.04.06 |
미국 주식 배당 투자 전략 알아보기(정의, 장점, 선정 기준, 투자 전략, 고려 요소, 실전 예시, 기업 추천) (0) | 2025.04.04 |
실업급여의 모든 것(정의, 수급 자격, 신청방법, 지급액/기간, 유의사항) (0) | 2025.04.03 |
지자체별 음식물처리기 지원 사업 알아보기(지원금, 지원 대상, 신청 조건, 지원 금액, 신청 방법) (0) | 2025.03.31 |
"제로금리시대" 유동성을 확보하는 재테크 방법(자본 유동성, 전략, 소액투자, 중고거래, 디지털 자산) (0) | 2025.03.30 |
동학개미vs서학개미 무엇에 투자해 볼까?(의미, 국내 주식투자/해외 주식투자, 특징, 비교, 고려할 점) (0) | 2025.03.24 |
다양한 대안 투자 상품 알아보기(채권, 배당주, P2P, 장점과 단점) (0) | 2025.03.23 |